치매환자 실종예방용 감지기 보급 MOU

치매환자·발달장애인 실종예방…‘배회감지기’ 4590여 대 신규 무상 보급
민관이 협력해 치매환자와 발달장애인의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‘배회감지기’ 4590여 대를 신규로 무상 보급한다.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㈜ SK하이닉스와 함께 5일 기존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사업을 지속·확대하는 내용의 ‘치매환자·발달장애인 배회감지기 무상보급을 위한 업무협약(MOU)’을 체결했다고 밝혔다. 이번 협약은 3차 업무협약으로, 복지부-경찰청-SK

GPT 요약

  • 🌐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
  • 📝 보건복지부, 경찰청, SK하이닉스 MOU 체결
  • 🚓 7년간 3만 1000여 대 배회감지기 보급, 2200여 건 실종자 발견
  • 🤝 민관 협력으로 치매환자 및 발달장애인 실종 예방 위한 배회감지기 4590여 대 신규 무상 보급
  • 📅 2027년까지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사업 3년 연장
  • 📈 SK하이닉스, 2023년 스마트지킴이2로 업그레이드하여 지원
  • 🛠️ 경찰청, 실종자 수색 및 수사에 배회감지기 활용
  • ⏱️ 배회감지기 도입 후 실종자 발견 소요시간 단축 (치매환자 12시간 -> 40분, 발달장애인 76시간 -> 1.1시간)
  • 💰 SK하이닉스, 올해 지원 규모 전년 대비 60% 증가
  • 🏥 복지부, 치매안심센터 등을 통해 보급 대상자 선정 및 지원 체계화
  • 👮‍♂️ 경찰청, 실종 시 수색 및 수사에 배회감지기 활용
  • 📊 실종 사건 대응에 배회감지기 중요한 역할
  • 💼 민관 협력 모델로 사회적 가치 창출
  • 📞 문의: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,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

Read more

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른 취약계층기준 (2022.6.7)

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령 | 국가법령정보센터 | 법령 > 본문법령 > 본문 제2조(취약계층의 구체적 기준) 「사회적기업 육성법」(이하 “법”이라 한다) 제2조 제2호에 따른 취약계층(이하 “취약계층”이라 한다)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다. <개정 2022. 6. 7.> 1. 가구 월평균 소득이 전국 가구 월평균 소득의

2022년 신규 암발생자 수는 28만 2,047명

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 : 네이버 블로그 2022년 신규 암 발생 건수는 282,047건으로 2021년보다 소폭 감소했습니다. 가장 흔한 암은 갑상선암이었고, 이어서 대장암, 폐암, 유방암, 위암, 전립선암 순이었습니다. 지난 5년 동안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72.9%로, 10명 중 7명이 5년 이상 생존했습니다. 한국에서의 암 유병률은 5.0%로,

멜라토닌은 만병통치약이 될지도 모릅니다 (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신원철 교수)

AI 요약 * 🛌 잠의 중요성: 잠은 몸과 마음의 회복을 위한 필수 요소로, 불면증은 선진국에서 흔한 문제로 지적됩니다.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, 빛, 운동 부족 등이 원인으로 작용합니다. * 🌗 생체 리듬과 멜라토닌: 생체 리듬은 24시간 주기로 작동하며, 멜라토닌은 이 리듬을 조절하고 수면을 유도합니다. 빛 노출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므로, 자기 전에는 조명을 줄이고 핸드폰 사용을